강아지 토하는 이유 구토 원인
강아지 토하는 이유 구토 원인 과 강아지 토할 때 응급처치 집에서 강아지 구토 멈추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토는 단순 구토, 그리고 위산 등의 역류로 구분이 됩니다. 단순 구토란 위와 장 상부에 있던 물질이 억지로 나오는 것을 뜻합니다.
구토 시 노란색 담즙이나 일부 소화가 된 음식이 나오면서 신 냄새가 납니다.
반대로 역류의 경우에는 소화가 되지 않은 음식이 식도에서부터 입으로 나오는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토의 경우 식사 이후 몇 시간이 지난 뒤, 반면에 역류의 경우에는 식사 직후에 발생 합니다.
이유는 매우 다양합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강아지 구토의 경우 장 트러블이나 위염이 있어서 그러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구토를 할 때에는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로는 성견이 단순한 구토증상만 보이는 경우라면 물과 음식을 약 10~12시간 동안 주지 않도록 합니다.
개들이 구토를 한다는 것은 자신의 몸에 맞지 않은 나쁜 이물질을 스스로 배출을 시키는 자연 보호작용 행동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
스스로 치유를 할 시간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10~12시간이 지나고 나서 더 이상 구토를 안 하게 되면 얼음 조각을 핥아 먹도록 하고 3~4시간마다 반복해주면 좋습니다.
얼음을 먹고 나서 토하지 않으면 물을 먹게 합니다. 물도 2~3시간 반복해서 줍니다. 물을 먹어도 토를 하지 않는다면 소화가 잘 되도록 죽 종류의 부드러운 음식을 조금씩 먹여주고 지켜본 다음 2~3일 뒤에는 평소에 먹던 음식으로 천천히 바꿔줍니다.
일시적인 구토라면 토한 이후에도 잘 먹고 잘 놀며 평상시와 같은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하지만 계속적인 구토와 설사나 무기력증 등의 다른 증상이 보인다면 여러 가지 질병이 있을 수 있음을 생각해 봐야 합니다.
반복적인 구토를 보이는 경우라면 근본적인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구토가 장기화 될수록 탈수나 영양부족 혹은 체액과 영양분의 손실로 인하여 다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토의 원인과 빈도 그리고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강아지 토하는 이유 4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강아지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강아지의 건강에 이상이 있어서 소화를 하기가 힘들어서 토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강아지가 주인이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거나, 체온이 높거나 낮을 수가 있습니다.
강아지들의 정상 체온은 사람보다 높으며, 약 38.5~39℃ 입니다.
(2) 불규칙한 식사 습관
외출을 하거나 사료 챙겨주는 것을 깜빡 잊어버리는 경우가 잦아진 경우 입니다.
강아지의 불규칙적인 식사습관은 있을 때에 먹자라는 심리가 발동하는 것으로, 사람과 비슷합니다.
아이들의 공복시간이 12시간이 지나고 나면 위산이 지속적으로 분비가 되어서 위를 자극하게 됩니다.
즉, 배가 고파지는 것 입니다.
부득이하게 공복시간이 길어진 경우라면 너무 급하게 먹지 않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사료에 물을 불려서 소화가 쉽게 되도록 사료는 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3) 음식을 너무 급하게 먹은 경우
강아지가 토하는 이유 가운데 가장 많은 경우에 해당이 됩니다. 속된 표현으로 개눈 감추듯이 먹는다는 표현이 있습니다.
강아지들은 지금이 가장 중요하기에 맛이 있는 간식, 혹은 숨기고 싶을 정도의 매력적인 음식이라고 한다면 개눈 감추듯이 먹어치웁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여지없이 토를 하게 됩니다. 사실 강아지들이 그렇게 급하게 먹는 이유는 배가 무척 고프다거나 형제 자매견이 있을 때에 뺏기지 않기 위해서 입니다. 심지어 주인도 경쟁자로 보기도 합니다.
(4) 이물질을 먹는 경우
강아지 토하는 이유로 이물질을 먹었을 때 토를 하는 경우도 자주 생깁니다. 집 안에서도, 그리고 산책을 할 때에도 방바닥과 길거리에 있는 이물질을 강아지가 먹는다면 토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강아지가 토를 하고 난 뒤에야 무엇을 먹었는지 알 수가 있는 경우입니다. 그 밖에 강아지가 장시간 차를 탔을 때에도 토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추천글
유기견 강아지 키우는 방법(+무료분양)
강아지 배변훈련방법
반려견 강아지 치아 관리 방법
반려묘 등록 고양이 동물등록 신청방법
반려견 강아지 영양제 추천
강아지 나이 계산법 건강검진 비용